<앵커>
경찰은 구치소 수용자들과 교도관의 독방 거래 과정을 연결해 준 브로커 2명도 구속했습니다. 이 브로커들은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이번 사건의 배경에 배후 세력이 있는 건 아닌지, 경찰은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진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경찰은 구치소 수용자들이 교도관을 통해 독거실을 배정받는 과정에 브로커들이 개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경찰은 오늘(28일) 교정당국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에 앞서 지난 26일 '독방 거래'에 관여한 브로커 2명을 구속한 걸로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뇌물공여 혐의가 적용된 브로커 2명은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경찰은 이들이 독거실을 원하는 수용자들로부터 수천만 원 상당의 금품을 받아 교정본부 소속 교도관 A 씨에게 일부를 전달한 걸로 보고 있습니다.
[사건 관계자 : ○○○하고 ○○○이라는 공범하고 둘이 독거실 가는 조건으로 얼마를 줬다고. 그렇게 해서 독거실을 갔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다른 사람이 자긴 안 보내주고 그 둘만 보내주니까 서운하다고.]
현행법상 구치소에 수감된 수용자들은 독거실에 배정되는 게 원칙입니다.
하지만 독거실 수보다 수용자가 많은 과밀 상태다 보니 수용자 대부분은 혼거실에서 4명에서 6명 정도가 함께 머무는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독거실 배정은 수용자 특성이나 건강상태 등 엄격한 기준에 따라 관련 부서의 결재를 거쳐 결정됩니다.
수용자의 거실 배정은 구치소 보안과가 총괄하고, 냉난방 시설이 마련돼 있는 등 시설이 보다 쾌적한 의료수용동 독거실의 경우 의료과의 승인이나 확인이 필요합니다.
경찰은 이러한 기준이 있는데도 독방 거래가 버젓이 이뤄진 배경에 조직폭력배 조직 등 배후세력이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독방 거래'의 구체적인 경위를 확인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강경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