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수도권 전셋값 2년 새 4천만 원↑…'국평' 아파트 상승세 두드러져

수도권 전셋값 2년 새 4천만 원↑…'국평' 아파트 상승세 두드러져
2년 전 전세계약을 체결한 수도권 아파트 세입자들이 계약 만기가 도래하면서 평균 4천200여만 원 수준의 보증금 증액 부담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시스템을 통해 2023년 상반기와 올해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7천878개 단지의 전월세 실거래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기간 평균 전셋값은 3억 9천63만 원에서 4억 3천278만 원으로 4천215만 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국민평형'(국평)으로 불리는 중형(60∼85㎡)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수도권 전체 기준으로 상승률이 가장 높은 평형이 국평(11.2%, 4천380만 원)이었고 이어 소형(50∼60㎡)이 10.8%(3천590만 원)로 뒤를 이었습니다.

대형(85㎡ 초과)은 상승률이 9.8%(6천41만 원), 초소형(50㎡ 이하)은 5.6%(1천327만 원)였습니다.

서울의 경우 국평 아파트 평균 전세보증금은 2023년 상반기 5억 3천760만 원에서 올 상반기 6억 196만 원으로 6천435만 원 늘어 평균 11.7%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 추이 (사진=집토스 제공, 연합뉴스)

전셋값 상승은 수도권 전체적으로 나타났고 경기도 일부 지역은 눈에 띄는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경기도 과천시 국평 전셋값은 2년 만에 21.9%(1억 5천450만 원) 올라 수도권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양주시(19.3%), 구리시(17.3%), 화성시(16.6%), 시흥시(15.4%) 등도 가격이 크게 뛰었습니다.

서울에서는 마포구(15.4%), 서대문구(14.4%), 동작구(14.0%) 등이 상승률 상위권에 올랐고, 금액 기준으로는 고가 지역인 서초구(1억 1천717만 원), 강남구(1억 1천81만 원) 등이 크게 올랐습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매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전세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는 가운데 2년 전 대비 전셋값이 크게 오르며 세입자들의 주거비 부담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집토스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