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이 세종시 급류 실종 사건에서 공직 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되면 엄정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실이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음에도 세종시의 경우 급류 실종 시민을 무려 23시간 동안 경찰과 소방 당국, 지방자치단체 재난 지휘부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찰이 소방본부에 사고 상황을 전파했음에도 세종시 재난 컨트롤타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며 "심각한 공직 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되면 엄정하게 책임을 묻고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 17일 새벽, 세종시 어진동 도심 하천에서 4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습니다.
그런데 경찰과 소방 당국, 지자체 재난 지휘부가 23시간이 지난 뒤에서야 이 사실을 처음 인지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충청권 집중호우로 최고 수준의 비상 대응 체계가 가동되고 있음에도 급류에 휩쓸려 발생한 실종 사고 자체를 알지 못했다는 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8일, 집중호우 대처 상황 점검회의에서도 경기도 오산시에서 옹벽 붕괴 사고 40대 남성이 숨진 사고 관련, 이권재 시장에게 교통 통제 여부 등 대처 상황과 경위를 따져 물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그간 폭우 피해를 막기 위해 전 부처와 기관의 모든 자원과 행정력을 총동원해야 한다며 '과할 정도의 대응'을 강조해 왔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