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가 넉 달째 20만 명 안팎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 부진은 계속됐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6일) 발표한 '6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909만1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만3천 명 늘어났습니다.
취업자 증가 폭은 6개월 연속 두 자릿수를 나타냈습니다.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에 따라 5만2천 명 감소했다가 지난 1월 13만5천 명 늘면서 한 달 만에 방향을 바꿨고 2월에도 13만6천 명 증가했습니다.
3월과 4월에는 각각 19만3천 명, 19만4천 명 늘었고, 5월에는 24만5천 명 증가하며 13개월 만에 20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최근 4개월 연속 20만 명 안팎의 증가세가 이어진 것입니다.
다만 취업자 증가 폭은 6개월 만에 축소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8만3천 명 줄었습니다.
5월(-6만7천 명)보다 감소 폭을 키우며 12개월째 마이너스였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역시 건설 경기 불황 등이 이어지면서 9만7천 명 감소했습니다.
14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건설업은 전달(10만6천 명)보다는 감소 폭이 다소 줄었습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감소 폭이 3∼4월에 비해 작지만 지난달보다는 약간 늘어났다"며 "통상과 관세 협상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추가경정예산 편성 영향에는 "바로 분석하기는 어렵지만 산업 예산이 들어갔기 때문에 고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며 "다만 통계 구조상 집행 이후에도 정확한 영향을 계산하기는 어렵다"고 했습니다.
농림어업도 14만1천 명 감소했습니다.
4월 한파와 6월 폭우 등 이상 기후로 인해 2015년 11월(-17만2천 명) 이후 최대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만6천 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10만2천 명) 등에서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업은 5월엔 5만 명 감소했으나 지난달엔 6만 명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회복된 영향이라고 통게청은 분석했습니다.
내수와 관련이 있는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3만8천 명 감소했지만 전월(-6만7천 명)보다는 감소 폭이 줄었습니다.
도매·소매업 취업자는 1만 명 늘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34만8천 명)·30대(11만6천 명)에서는 늘고 20대(-15만2천 명)에서는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계속됐습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7만3천 명 줄었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가 31만8천 명, 임시근로자가 5만8천 명 각각 늘었지만 일용근로자는 6만3천 명 줄었습니다.
비임금근로자를 보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2만1천 명)은 9개월 연속 줄었습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5천 명 줄었습니다.
무급가족종사자도 6만4천 명 감소했습니다.
고용률(15세 이상)은 63.6%로 0.1%포인트(p) 올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3%로 작년보다 0.4%p 상승했습니다.
다만 15∼29세 청년층의 고용률은 1.0%p 하락한 45.6%를 기록했습니다.
14개월 연속 하락입니다.
실업자는 82만5천 명으로 작년보다 3만2천 명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2.8%로 0.1%p 내렸습니다.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는 2천991만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1천 명 늘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82만8천 명으로 전년보다 4만2천 명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6만 명 늘었습니다.
구직단념자는 34만1천 명으로 3만2천 명 줄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