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후불제 여행 사기 피해 더 커질 듯…재판 중 추가 고소 잇따라

후불제 여행 사기 피해 더 커질 듯…재판 중 추가 고소 잇따라
▲ 전주지법

전북 전주의 한 여행사에서 불거진 이른바 후불제 여행 사기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여행사 A(58) 대표는 여행 먼저 가고 돈은 나중에 내는 상품을 미끼로 고객들을 끌어모은 뒤 120억 원 상당의 선입금을 가로챈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당초 A 씨의 재판 과정에서 알려진 피해액은 120억 원에 달했으나 다른 피해자들이 재차 고소하면서 또 다른 재판이 열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5일 전주지법 제3-1형사부(박현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A 씨의 사기 혐의 항소심 공판에서 변호인은 "피고인이 추가로 받는 재판이 있는데 항소심에서 사건을 병합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재판장이 "이 여행 사기와 동일한 건이냐?"고 묻자 변호인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재판장은 이에 "다른 건은 피해자가 몇 명이나 되느냐"고 되물었고 변호인은 "확실하지는 않지만 대략 30여 명"이라고 말했습니다.

그간 이 사건은 재판 과정에서 여러 피해자가 추가로 사기 피해를 알리면서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애초 경찰이 사건을 검찰에 넘길 때만 해도 피해액은 20억 원 정도였으나 1심 판결을 선고할 때는 이보다 100억 원이 더 늘었습니다.

이날 재판은 배상을 신청한 피해자들도 방청했습니다.

적게는 365만 원, 많게는 1천920만 원을 A 씨에게 맡긴 피해자들은 피해금을 속히 돌려받길 원한다는 뜻을 재판부에 전달했습니다.

재판부는 변호인의 요청을 받아들여 오는 9월 9일 공판을 다시 열고 두 개의 사건에 대한 병합 여부를 정하기로 했습니다.

A 씨는 "매달 일정 금액을 내면 경비를 다 내지 않아도 해외여행을 보내주겠다"며 후불제 방식의 여행 상품을 내놨으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강도 높은 방역 정책으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얼마 지나지 않아 판매가 중단됐습니다.

고객들은 "여행을 못 갔으니 납입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으나 A 씨는 연락을 피하며 이를 돌려주지 않았습니다.

이 여행사는 2007년 전주에서 창업한 이후 전국에 20여 개 지점을 둘 정도로 성업했기 때문에 피해자는 4천여 명에 달했습니다.

1심 재판부는 지난 4월 "피해자들은 한두푼씩 모아 첫 해외여행, 가족여행, 퇴직 여행을 꿈꾸며 회비를 성실히 납부했다. 그러나 당초 예상과 달리 피해자들은 여행도 못 가고 해약금도 받지 못했다"며 A씨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습니다.

이에 징역 8년을 구형한 검찰과 A 씨 모두 원심판결에 불복해 항소했습니다.

(사진=전주지법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