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출 규제 전' 6월 서울 집값 상승률 0.95%…6년 10개월 만에 최대

'대출 규제 전' 6월 서울 집값 상승률 0.95%…6년 10개월 만에 최대
▲ 서울 자치구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지난달 서울 집값 상승 폭이 6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오늘(15일) 공개한 '6월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 종합 매매 가격은 전월 대비 0.95% 상승해 2018년 9월(1.25%) 이후 6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아파트 가격 상승 폭(1.44%)도 2018년 9월(1.84%) 이후 가장 컸습니다.

서울 자치구별 주택 가격 동향을 보면 송파구가 2.38% 올라 2018년 1월(2.45%)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송파 다음으로는 강남(2.20%), 성동(2.17%), 서초(2.11%), 강동(1.70%) 등의 순으로 집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6·27 대출 규제' 영향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통계여서 서울 신축이나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주택 담보 대출을 6억 원 이하로 제한하고 전세 대출로 잔금을 마련할 수 없도록 한 대출 규제 이전 강남권과 용산, 성동을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은 연초부터 상승세를 이어왔습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가격은 전월보다 0.37% 상승한 반면, 지방은 0.09% 내렸습니다.

전국 집값은 0.14% 올라 전월(-0.02%) 대비 상승 전환했습니다.

서울 평균 주택 가격은 9억 1천449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수도권은 6억 780만 원, 지방은 2억 3천688만 원으로 나타났으며, 전국은 4억 1천327만 원에 평균 매매가를 형성했습니다.

지난달 전국 주택 전셋값은 0.03% 올라 전월(0.00%)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습니다.

서울(0.15%→0.24%)을 포함한 수도권(0.06%→0.11%)의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지방(-0.05%→-0.04%)은 하락 폭을 좁혔습니다.

월세는 서울(0.24%)을 포함해 수도권이 0.12% 올랐습니다.

전국 월세는 0.0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달 전국 평균 전셋값은 2억 3천60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월세는 평균 보증금 5천417만 원에 월세 80만 4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에서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나타난 집값 상승세가 6·27 대출 규제 영향이 본격화하는 이번 달부터 멈추거나 하락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윤지해 부동산 R114 리서치 랩장은 "현재 대출 규제가 나온 지 2주밖에 안 됐지만 상승폭은 축소하고 있고, 앞으로는 상승폭이 크게 꺾여 마이너스 전환까지 예상해 볼 수 있다"면서 "7월과 8월 집값 통계는 6월 통계와는 전혀 다를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사진=한국부동산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