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문제를 둘러싸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 관계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자진 감사를 요청했습니다.
미국의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14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이 워싱턴 DC에 위치한 연준 본부의 개보수 비용의 과다 지출 논란과 관련해 감사관실에 검토를 요청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파월 의장이 자진 감사를 요청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 측에서 제기한 연준 개보수 비용 과다 지출 논란을 불식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준 개보수 비용 과다 지출 논란은 연준 본부 공사 비용이 초기 계획보다 7억 달러(약 9천695억 원)나 늘어난 25억 달러(3조4천625억 원)에 달했다는 주장입니다.
옥상 정원과 인공 폭포, VIP용 엘리베이터, 대리석 장식 등 설계 변경 탓에 비용이 부풀어 올랐다는 것입니다.
백악관이 연준의 공사 비용을 문제로 삼고 나선 것은 내년 5월이 임기인 파월 의장을 조기 교체하기 위한 구실을 찾기 위해서라는 시각이 일반적입니다.
연준의 존립 근거인 연방 준비법은 연준의 독립성을 보호 목적에서 대통령도 정당한 사유 없이 연준 이사를 해임할 수 없도록 규정했습니다.
다만 부패 등 문제점이 드러난다면 임기 이전이라도 해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백악관이 연준의 공사 비용 문제를 부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은 연준 본부 개보수 과정에서 당국의 승인을 받지 않은 변경 사항이 포함됐고, 파월 의장이 의회에서 이 문제에 대해 거짓 증언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연준 의장을 해임할 권한이 있냐는 질문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는 사안이지만 사유가 있다면 대통령은 분명히 그럴 권한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금리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동결을 고수하고 있는 파월 의장을 공개적으로 '멍청이'라고 부를 정도로 불만이 누적된 상황입니다.
또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 폭이 시장의 예상을 밑도는 등 물가 상승 우려가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JD 밴스 부통령은 "연준의 금리 인하 거부는 통화정책 차원의 직무 유기"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이 같은 행정부의 압박에도 연준의 독립성을 이유로 금리에 대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이 자진 감사를 요청한 것은 연준 개보수 비용에 대한 논란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뜻을 천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연준은 보도자료를 통해 연준 개보수 공사 필요성과 비용 증가 이유를 설명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