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메타, 음성 AI 스타트업 플레이 AI 인수…AI 인재 영입 경쟁 가속화

메타, 음성 AI 스타트업 플레이 AI 인수…AI 인재 영입 경쟁 가속화
▲ 메타 로고

막대한 자금을 들여 AI 우수 인재를 영입하고 있는 메타가 이번엔 소규모 AI 스타트업을 인수했습니다.

현지시간 어제(1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AI 음성 기술을 개발하는 소규모 스타트업 '플레이AI'를 인수했습니다.

이번 인수로 이 스타트업의 전체 팀이 다음 주부터 메타에 합류하게 됩니다.

플레이AI는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AI 음성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총직원은 20명 안팎으로 알려졌습니다.

메타는 내부 문서에서 이 스타트업에 대해 "자연스러운 음성을 만드는 작업과 간편한 음성 제작을 위한 플랫폼은 AI 캐릭터와 메타 AI, 웨어러블 및 오디오 콘텐츠 제작 전반에 걸친 우리의 작업과 로드맵과 매우 잘 맞는다"고 평가했습니다.

메타는 최근 인간을 뛰어넘는 가상의 AI 시스템인 '초지능' 연구소를 설립하고 우수 인력 보강을 위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메타는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 우리 돈 약 19조 7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하고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알렉산더 왕을 영입했습니다.

오픈AI의 공동 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의 대니얼 그로스 CEO 등도 합류했습니다.

메타는 또 최고 1억 달러에 달하는 보상 패키지를 제시하며 챗GPT 개발사 오픈AI 연구원들을 대거 영입했으며, 애플의 AI 모델 개발 총괄 책임자를 2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로 스카우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AI 인재 영입 경쟁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오픈AI는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 인수를 추진해 왔으나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고, 구글이 윈드서프 최고경영자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습니다.

윈드서프는 AI를 활용해 개발자들의 코딩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오픈AI가 약 30억 달러, 우리 돈 약 4조 1천억 원에 인수를 추진해 왔습니다.

구글은 윈드서프 기술 일부에 대해 라이선스를 확보했으며, 윈드서프의 지분을 보유하지 않지만 이번 거래를 위해 24억 달러, 우리 돈 약 3조 3천억 원을 지불할 예정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