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 대통령실의 특수활동비를 삭감했던 민주당이 정권이 바뀌자 다시 증액하자고 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추경 심사 과정에서 자기 지역구와 관련한 예산 증액을 요구했습니다.
손기준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말 야당일 때 민주당은 올해 정부 예산안을 심사하면서 대통령실의 특수활동비 82억 원을 전액 삭감했습니다.
어디에, 왜 쓰는지 소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해 12월 2일, 당시 민주당 대표) : 문제 된 특활비, 어디다 쓴지도 모르는 특활비를 삭감한 것인데, 이것 때문에 (윤석열 정부가) 살림을 못 하겠다고 하는 건 사실 좀 당황스러운 얘기죠.]
그런데, 새 정부의 추경안을 심사하는 이번 국회에서는 7개월 전과는 사뭇 반대의 상황이 불거졌습니다.
한 민주당 의원이 대통령실 등의 특활비 증액을 요구한 겁니다.
[조승래/민주당 의원 (그제) : 새로운 정부가 출범해서 일을 함에 있어서 특활비의 부족 문제가 일을 하는 데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저는 예산에서도 조금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
국민의힘은 전형적인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 추경이 그렇게 급하다고 우기더니 결국 알고 보니까 대통령실 특활비가 그렇게 급했단 말입니까. 염치도 없고 양심도 없는 가히 내로남불 표리부동의 끝판 세력입니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추경안에 자기 지역구와 관련한 예산의 반영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경기도 성남시가 지역구인 이수진 의원은 경찰서 이전 신축 예산 증액을, 광주광역시의 안도걸 의원은 AI 과학영재학교와 운전면허시험장 설립 예산을 각각 요청한 걸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지난해 예산 심사 과정에서 필요성이 인정됐지만, 반영되지 않았던 것이라며 '쪽지 예산'처럼 밀어 넣은 게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안 의원은 광주·전남 의원들의 요구를 취합해서 전달했을 뿐 자세한 세부 내역은 알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공진구, 영상편집 : 유미라, 디자인 : 방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