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경기와 영업 여건이 전반적으로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한 중소기업들이 상반기보다 늘었습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내수 회복이 내년이나 내후년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6∼20일 중소기업 5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 전망 조사에서 올해 하반기 경기가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13.8%로 상반기(7.6%)보다 6.2%포인트 높아졌다고 밝혔습니다.
항목별로 보면 하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호전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14.8%로 상반기보다 6.4%포인트 커졌습니다.
하반기 자금 사정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은 전체의 11.4%로 5.2%포인트 늘었고 공장 가동률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 비율도 10.4%로 0.8%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반면 인력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응답은 상반기 18.6%에서 하반기 13.6%로 5%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재고 수준이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8.0%로, 설비 수준이 약화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1.2%로 상반기보다 각각 1.6%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주요 경영 애로(복수응답) 요인으로는 내수 부진(49.8%), 원자재 가격 상승(41.0%), 인건비 상승(38.4%), 자금 조달 곤란(21.2%)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상반기 대비 다소 완화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내수 경제 회복 시점을 '내년 이후'로 응답했습니다.
회복 시기에 대한 응답은 내년이 54.4%, 오는 2027년이 35.6%로 조사됐고 올해 하반기 회복을 예상한 응답자는 10.0%에 그쳤습니다.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 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27.6%)가 가장 많았고 경영 리스크(위험) 관리(21.6%), 핵심 인력 유지와 역량 강화(17.0%) 순이었습니다.
중소기업들은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로 세금 부담 완화(52.6%), 금융 지원(45.8%), 인력난 해소(28.4%), 원자재 수급 안정화(26.2%) 등을 제시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