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러 의원 "북한 노동자, 중앙아시아 출신보다 믿음직"

러 의원 "북한 노동자, 중앙아시아 출신보다 믿음직"
▲ 평양-모스크바 직통 열차에서 내린 북한 인력

북한 노동자가 대거 러시아에 파견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북한 노동자가 기존 이주 노동자보다 러시아 고용주에 더 신뢰를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야로슬라프 닐로프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노동사회정책위원장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매체 뉴스.루에 북한과 아프가니스탄 출신 노동자가 중앙아시아 출신보다 고용주에게 믿음직스러운 인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현재 러시아 이주 노동자의 다수를 차지하는 중앙아시아 출신은 노동 비자가 아닌 노동 허가를 받고 일하고 있지만, 북한과 아프가니스탄 노동자는 노동 비자로 러시아에 입국할 예정이라는 것을 그 이유로 들었습니다.

닐로프 위원장은 "비자가 취득하기 훨씬 까다롭다. 허가증을 가지고 일하는 사람은 쉽게 일을 그만두고 직장을 옮길 가능성이 있다. 이는 고용주들이 나에게 한 말들"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노동 비자를 가진 외국인을 고용하는 것이 러시아인이 기피하는 직무 인력을 채우거나 안정적인 노동력을 확보하는 데 더 유리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레오니트 칼리시니코프 하원 의원은 러시아와 북한이 지난해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이 북한 노동자 유치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고 밝혔습니다.

미하일 마트베예프 하원 의원은 러시아가 북한, 아프가니스탄 노동자를 받아들이기로 한 것은 북한, 아프가니스탄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정치적 결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 NHK는 지난달 19일 북한이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 알라부가 특별경제구역에 있는 드론 생산 공장에 노동자 2만5천명을 파견하고, 그 대가로 드론 조종 교육을 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러시아와 서방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그에 앞서 지난달 17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는 북한 평양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난 뒤 북한이 러시아 쿠르스크 복구를 위해 공병대와 군사 건설 인력 총 6천명을 파견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북한의 해외 노동자 파견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비판합니다.

러시아 매체들은 러시아 노동부가 지난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에서 탈레반 대표단과 만나 아프가니스탄 노동자 1천명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5월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을 금지 단체에서 해제하고 관계 정상화에 나섰습니다.

(사진=타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