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내 수출기업들 "미국 관세에 수출 4.9% 감소 전망"

국내 수출기업들 "미국 관세에 수출 4.9% 감소 전망"
국내 수출기업들이 올해 미국 관세로 인한 실적 악화를 우려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오늘(26일)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 중 수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150개 사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지속하면 올해 수출액이 작년보다 4.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각 사의 전망치를 산술 평균 낸 값입니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8.3%↓), 자동차·부품(7.9%↓), 석유화학·석유제품(7.2%↓), 일반기계(6.4%↓), 반도체(3.6%↓), 철강(2.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미국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미국의 관세정책 지속 시 국내 수출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6%, 6.3%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응답 기업 81.3%는 '미국의 관세정책이 양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14.7%는 '한국기업에 부정적이고 미국기업엔 긍정적'이라고 답했습니다.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로는 '잦은 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글로벌 경기 악화'(24.0%), '미국 수출 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 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이 꼽혔습니다.

실무적인 애로는 미국 수입업체와 단가 조정 협상(53.4%)이 과반을 차지했고 미국 통관 절차 정보(21.3%), 원산지 판정 기준 정보(13.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의 대응 방안은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 구조 재조정(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16.5%), 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 강화(12.3%), 투자 연기·축소(7.6%) 순이었습니다.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 기간을 묻자 6개월∼1년(42.7%)이 가장 많이 나왔고 1∼2년(18.0%), 6개월 이내(16.0%), 3∼4년(12.0%), 2∼3년(11.3%) 순으로 꼽혔습니다.

정부의 대응 방안으로는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등이 제시됐습니다.

정부가 원활한 관세 협상을 위해 추진해야 할 대책으로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 방안 제시(12.5%), 미국제품 수입 확대(8.9%) 등이 꼽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특집 바로가기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