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무산되나?…북한 이의 신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신청한 백령·대청·소청도와 주변 해역(사진=인천시 제공, 연합뉴스)
▲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신청한 백령·대청·소청도와 주변 해역

서해 최북단 백령·대청·소청도 일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하는 절차가 북한의 이의 신청으로 중단됐습니다.

인천시는 북한이 지난 19일 유네스코 측에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에 대해 서면으로 이의 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의 이의 신청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앞서 인천시는 2년 전 환경부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했고 지난해 2월 국내 후보지로 최종 선정됐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제주도와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 전북 서해안 등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돼 있지만, 회원국 이의 신청으로 지정 절차가 중단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시는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지정 정식 신청서를 제출했고 세계지질공원 규정에 따라 올해 2월부터 3개월 동안 회원국 공람을 진행했습니다.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 지역은 옹진군 백령면과, 대청면 육상 66㎢와 주변 해상 161㎢입니다.

유네스코는 회원국이 이의 신청을 하면 더 이상 과학적 평가 작업을 하지 않고 관련 당사국들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어 북한과의 협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이 사실상 중단될 수밖에 없습니다.

독특한 절경 자랑하는 소청도 분바위(사진=연합뉴스)


다음 달 예정이 된 백령·대청면과 주변 해역에 대한 유네스코 현장실사도 무기한 연기됐습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왜 이의 신청을 했는지 공개되지 않았지만, 우리의 해상 영토임이 분명한 북방한계선에 대한 무력화 의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유 시장은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 재개를 위해 정부와 협력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외교적 해결을 모색하겠다"며 필요하다면 북한 당국과 직접 만나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할 뜻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인천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특집 바로가기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