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18일) 광주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이 열려 5월 정신의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한 첫 기념식이었는데, 곳곳에 무장한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이 배치되면서 희생자와 유족에게 상처만 남겼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기념식에 참석하려던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시민들의 항의로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KBC 임경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은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엄수됐습니다.
대통령 궐위 상태에 권한대행이 참석한 첫 기념식으로, 5·18 민주유공자와 유족, 정관계 인사 등 2천500명이 참석했습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그 오월의 정신 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세워졌습니다.]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주인공 문재학 열사와 시민군 대변인으로 1980년 5월 27일 희생된 윤상원 열사가 재조명됐습니다.
손을 맞잡고 힘차게 제창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끝으로 기념식이 마무리되자, 시민들의 추모도 이어졌습니다.
[정다솜/추모객 :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것이기도 하고 할머니 친구분도 여기 계셔서 뵈러 왔어요. (할머니) 친구분이랑 할머니가 5·18에 좀 힘을 쓰셨다는 그런 얘기를 들으면서.]
하지만, 무장한 대통령경호처 요원들이 행사장 곳곳에 배치되는 등 삼엄한 경비는 논란을 남겼습니다.
1980년 5월의 계엄군을 떠올리게 하는 모습으로 유족들에게는 아픈 기억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입니다.
[박강배/5·18기념재단 상임이사 : 계엄군에게 희생된 민간인들을 기념하는 날인데, 희생자들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어요. 이 사람들 총칼에 희생된 사람들이에요. 군인들한테 희생된 사람들이라고요.]
12·3 불법 계엄을 일으킨 윤석열 전 대통령을 옹호해 논란을 산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시민들의 반발에 참배가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형수 K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