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역사 왜곡 논란 '전라도 천년사', 문제된 부분만 빼고 배포?

      역사 왜곡 논란 '전라도 천년사', 문제된 부분만 빼고 배포?
      ▲ 전라도 천년사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남도, 광주시가 식민사관적 표현으로 역사 왜곡 논란을 빚은 '전라도 천년사'에서 문제가 되는 고대사 부분만 빼고 배포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

      오늘(14일) 전북도에 따르면 3개 시도의 과·팀장급 실무진은 최근 회의를 열고 이러한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전라도 정도 천년을 기념해 편찬하기로 한 '전라도 천년사'는 일본이 고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任那·가야국)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인 '일본서기' 기술을 차용해 논란이 됐습니다.

      임나일본부설은 4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로 출정해 가야와 그 주변을 정벌 후 설치한 통치기관을 의미하며 이후 562년까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학설입니다.

      이 책이 공개된 이후 지역 정치권과 기초단체장, 시민·사회단체 등은 "역사 왜곡을 바로잡지 않을 거면 차라리 책을 폐기하라"며 문구와 내용 수정을 촉구해 왔습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실무진 회의에서 다수의 이의가 접수된 선사·고대 부분을 제외하고 '전라도'라는 명칭이 정착된 고려 현종 시기부터 현대까지를 담아 우선 배포하는 안이 거론된 것입니다.

      김해시가 7년에 걸쳐 '김해시사'를 편찬하면서 외부의 지적에 따라 임나일본부설을 제외한 사례도 참고했습니다.

      다만 3개 시도의 실·국장과 부단체장 회의, 시민사회단체 합의 등을 거쳐야 하기에 이 방안이 확정됐다고 보기는 이르다는 게 전북도의 설명입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전라도 천년사'에서 논란이 된 부분만 제외하고 발간하는 안이 논의된 것은 맞지만 아직 절차가 많아 확정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며 "시민단체와 공감대를 형성해서 조만간 결론을 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게 우리 도의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전북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특집 바로가기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