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집값 들썩' 세종시, 전세시장도 3년 6개월 만에 '집주인 우위'

      '집값 들썩' 세종시, 전세시장도 3년 6개월 만에 '집주인 우위'
      ▲ 세종시 아파트 단지

      최근 세종시의 아파트 매맷값이 상승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전세도 가격이 오르며 집주인 우위 시장으로 전환했습니다.

      오늘(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전세수급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5월 5일 기준) 세종시 전세수급지수는 102.1을 기록하며 2021년 11월 둘째 주 이후 3년6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선 위로 올라섰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초과할수록 전세 공급 부족을, 100 이하로 내려갈수록 전세 공급 과잉을 나타냅니다.

      세종시의 전세수급지수가 100을 넘었다는 것은 시장이 집주인 중심으로 바뀌었다는 의미입니다.

      세종시 전세수급지수는 최근 2년여간 80~90선을 오갔으나 지난달 셋째 주 93.7에서 넷째 주 98.7로 뛰더니 이달 들어 100을 넘어선 것입니다.

      실제로 현장에선 전세 물건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세종시 전세 물량은 1천39건으로, 한달 전(1천143건)보다 100여 건 줄었습니다.

      올해 초(1월 1일, 1천608건)와 비교하면 35% 감소했습니다.

      매물이 줄면서 가격은 상승세입니다.

      부동산원의 전세가격지수는 지난달 둘째 주 0.05% 오르며 반등한 것을 시작으로 셋째 주 0.03%, 넷째 주 0.12%, 이달 첫째 주 0.14% 등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원 조사에선 특히 주거 여건이 좋은 고운동, 도담동 위주로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전셋값 상승은 공급 감소와 함께 최근의 매매가격 급등세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매매와 전세 가격은 서로 연동돼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입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갭투자자는 전세금을 더 높게 받으려고 하기 때문에 매매가 늘어나면 전셋값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윤 랩장은 세종시의 주택 공급이 사실상 마무리되며 공급이 급감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아실에 따르면 올해 세종시 아파트 입주 물량은 1천35가구로, 적정 수요(1천959가구)의 절반 수준입니다.

      또 다른 부동산 전문가는 "공무원 수요가 기본적으로 뒷받침되는 데다가 최근 몇 년간 세종시 전셋값이 하락세를 나타내면서 대전이나 청주 등 주변 지역에서 인구가 유입된 영향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특집 바로가기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