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온라인 소비 쏠림 현상이 강해지는 추세 속에서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은 감소하는 등 업종별 온도 차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국내 주요 23개 유통업체 매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9.2% 증가한 15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온라인 매출은 19.0% 증가했지만, 오프라인 매출은 0.2% 감소했습니다.
오프라인에서는 백화점(-2.1%)과 대형마트(-0.2%)의 매출이 나란히 줄었고, 편의점(1.4%)과 SSM(3.6%)의 매출은 소폭 증가했습니다.

산업부는 전반적 소비 심리 위축에 따른 패션·가전 부분 판매 부진과 소비자들이 집 근처 매장에서 소량 구매를 늘리는 추세가 강화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했습니다.
오프라인 매출을 상품군별로 보면 식품(2.7%)만 다소 올랐고, 가전·문화(-20.2%), 패션·잡화(-4.8%), 해외 유명브랜드(-2.7%) 등 대부분 상품 판매가 감소했습니다.
온라인 매출은 식품(19.4%), 생활·가정(7.5%), 서비스(78.3%)를 중심으로 성장했습니다.
다만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한국 사업 확대 영향을 받는 패션·의류(-4.7%)와 스포츠(-10.1%)의 매출은 작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산업부는 빠른 배송, 가격 경쟁력, 음식 배달과 여행상품 등 서비스 판매 확대 등으로 3월 온라인 매출 증가율이 작년 4월(19.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습니다.
3월 전체 주요 유통업체 매출에서 온라인 비중은 53.5%로 작년 같은 달보다 4.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산업부는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편의점(GS25·CU·세븐일레븐), SSM(이마트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프레시·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곳과 SSG, 쿠팡, 11번가 등 10개 온라인 유통사의 매출 동향을 집계해 발표합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