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 북에 매력적 상대 아냐…북러밀착으로 대화 더 어려워져"

"미, 북에 매력적 상대 아냐…북러밀착으로 대화 더 어려워져"
▲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문위원장

북한이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강화하면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협상 요구에 응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전문가 평가가 나왔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시드니 사일러 선임고문은 현지시간 28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국·프랑스 외교부 공동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북러 간 상호작용과 관련해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압력을 통해 북한을 신뢰할 수 있는 대화 상대로 되돌리려는 모든 전략을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이러 고문은 "북한 입장에서 미국은 매력적인 상대가 아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지칭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 가능성을 반복적으로 시사해 왔지만, 북러 관계 밀착 이후 북한은 미국과의 대화에 응할 유인이 떨어졌다는 설명입니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북러 군사협력에 대해 "러시아는 북한에 생명선을 던졌다"며 특히 오랜 핵 개발 기간 상대적으로 악화한 북한의 재래식 무기 능력이 러시아의 지원을 통해 현대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사일러 고문은 특히 "새롭게 부상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북한과 러시아는 파트너 관계에 있다"며 "이들은 규범과 행동을 공유하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했던 일들을 서로 장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뒤이어 발표에 나선 일본 나가사키대의 니시다 미치루 교수는 NPT 서명국들이 북한 핵문제 대응을 소홀히 함으로써 NPT 체제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니시다 교수는 "핵무기를 보유하겠다라는 강한 결정을 내리면 어떤 장애물이 일더라도 결국은 핵무기 확산으로 이어지고, 국제사회 반응이 그리 강하지 않을 것이란 선례를 만들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윤종권 외교부 국제안보국장도 "북한은 핵 군사력 증강 전략을 기반으로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기를 원한다"며 "이는 NPT가 가장 심각한 위반자에게 보상을 주는 결과가 될 것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