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커버그도 관세 역풍…"테무·쉬인 광고 줄면 10조 원 타격"

저커버그도 관세 역풍…"테무·쉬인 광고 줄면 10조 원 타격"
▲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의 여파로 테무나 쉬인 같은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광고를 줄이게 되면 메타 플랫폼이 올해 70억 달러(약 9조 9천673억 원)의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미국 CNBC 방송은 시장 분석업체 모펫네이선슨의 보고서를 인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정책으로 중국 내 소매업체들이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메타 계열사들에 대한 광고 예산을 삭감할 경우 이런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모펫네이선슨은 그 근거로 메타의 지난해 연례 경영보고서를 들었습니다, 메타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183억 5천만 달러로 총매출의 11%가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중국 매출은 대부분 테무와 쉬인의 광고비에서 나오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인상 이후 테무는 미국 광고 지출을 줄였으며, 이후 애플 앱스토어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는 CNBC 보도도 나온 바 있습니다.

모펫네이선슨은 보고서에서 "메타의 사업에서 중국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면서 "메타가 유럽 내 국가별 매출 내역을 공개하지는 않지만, 논리적으로 볼 때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며, 이는 중국에 메타 사용자나 활성 플랫폼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실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올해 세계 시장에 경기침체가 나타날 경우 메타의 타격은 더 커집니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 분쟁으로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실제로 발생하면 메타의 올해 광고 매출은 230억 달러 줄고, 영업이익도 -25%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보고서는 이어 "메타는 특히 중국 광고주들의 광고비 삭감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면서 "무역 긴장이 고조돼 경기 침체가 촉발될 경우 메타는 전반적인 광고 감소와 중국 업체들의 대미국 광고비 지출 감소라는 이중고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모펫네이선슨은 그러나 메타에 대해 여전히 '매수' 등급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목표 주가는 185달러 낮춰 525달러로 조정했습니다.

메타는 다음 주 30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합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