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강제노동을 이유로 국내 최대 염전의 소금 수입을 금지했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미국이 우리 농어촌에서 일하는 외국인 계절노동자의 인신매매 실태조사에 나선 사실이 저희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소금에 이어 다른 농수산물에 대한 추가 제재도 우려됩니다.
정반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수산업 보호를 위한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 참석한 미국 수산업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소합니다.
[미국 수산업자 : 중국, 일본, 한국, 타이완이 우리 200해리 구역 바로 경계에서 조업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들이 미국 시장에 수산물을 덤핑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의 해산물 불공정 관행과 비관세 장벽 등에 대응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이건 쉬운 결정입니다. 정말 말이 안 되잖아요?]
이런 조치가 나오기 몇 달 전부터 미국 정부가 한국 농어촌의 이주노동자 인신매매 실태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SBS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미 국무부가 국내 양식장과 농가 등에 단기간 고용되는 외국인 계절노동자의 피해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고기복/모두를위한이주인권문화센터 대표 : 미 국무부에서 지난 1월에 한국에서 계절노동자 관련한 인터뷰가 있었고요. 신안 염전에 대한 (금수조치) 보도가 난 이후 미국에서 이런 조치들이 계절노동자 제도와 연관돼서도 할 수 있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폭행, 여권 압수, 임금 갈취 등을 당해 인신매매 피해자로 우리 정부가 공식 인정한 계절노동자는 14명에 이릅니다.
[인신매매 피해 계절노동자 : 브로커가 한 달에 1백만 원씩 가져갔어요. 현금으로 받거나 자기 계좌로 입금하라고 시켰어요.]
이른바 염전 노예 사건의 경우 2022년 미국 정부의 실태조사가 최근 소금 수입금지로 이어진 것처럼 다른 농수산물에 대해서도 이런 조치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