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명한 행정명령서 보여주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고 중국의 해양 패권을 저지하기 위한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이런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 예전엔 하루에 한 척의 배를 만들곤 했지만, 사실상 지금은 1년에 한 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럴 능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행정명령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에 의해 준비됐으며, 선박 건조부터 미 해군의 군사 활동을 지원할 상선(Merchant Marine)을 보유함으로써 해양 패권을 회복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백악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미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해양, 물류, 조선 부문에 대한 불공정 표적화 조사에 대한 조치를 지시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습니다.
앞서 USTR은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에 국방부와 국토안보부의 선박 조달 과정을 조사·검토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지시했습니다.
조선업 재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강조해온 부분입니다.
그는 지난달 4일 미 연방의회 합동회의 연설에서 "상선과 군함 건조를 포함한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며 백악관 조선 사무국 설치 및 조선업에 대한 특별 세제 혜택 제공 등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행정명령은 세계 1위 조선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 조선업계에 미국과의 협력을 통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도 전날 첫 통화에서 한미 간 협력 분야로 조선을 언급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방 조달의 효율성을 높이는 행정명령, 외국에 군사 무기 판매 과정을 개선하는 행정명령, 오래된 규제를 정리할 것을 지시하는 행정명령,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해 샤워기, 싱크대, 화장실 등에 부과한 수압 규제를 폐지하는 행정명령 등에도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외에 집권 1기 행정부 때 자신을 비판했던 크리스 크렙스와 마일스 테일러 등 전직 국토안보부 공무원 2명에 대해 보안 허가를 박탈하고 법무부에 조사를 지시하는 각서 등에도 서명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