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금융당국 "이달 가계 대출 분수령…토허제 풍선효과 지켜봐야"

금융당국 "이달 가계 대출 분수령…토허제 풍선효과 지켜봐야"
▲ 금융위원회 권대영 사무처장

금융당국이 이달 이후가 향후 가계 대출 관리에 있어서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면밀히 살피고, 지역별 가계 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한국은행, 은행연합회, 5대 은행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히 이뤄진 주택 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 부채 통계에 반영되는 만큼 4월 이후가 향후 가계 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국토부 등 관계 기관과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 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3월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은 4천억 원 증가해 전월 4조 2천억 원에 비해 증가 폭이 크게 둔화했습니다.

지난달 금융권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3조 4천억 원 늘어나 전달(4조 9천억 원) 대비 70% 수준으로 축소됐습니다.

2월 신학기 이사 수요 등으로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이 3월 들어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고, 분기 말 부실 채권 매·상각에 따른 대출 잔액 감소 효과가 더해진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도 은행 재원 외에 기금 직접 대출분까지 고려할 때 1월 2조 2천억 원, 2월 2조 4천억 원, 3월 1조 6천억 원 등으로 증가세가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인다고 참석자들은 평가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지난 2월 토허제 해제 등 서울 일부 지역의 규제 완화 이후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인한 주택담보대출 승인 물량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 강남구 등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 동향과 지역별 4∼5월 가계 대출 추이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