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단독] 의대생 절반 복귀?…"실질 복귀율 다를 것"

<앵커>

지난주가 복귀 시한이었던 의대에 예상보다 많은 학생들이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죠. 그런데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복귀율이 알려진 것보다 실질적으로는 더 낮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적 통보를 받은 일부 의대생들이 왜 학교로 돌아가지 않는지 입장을 전해 왔는데, 이혜미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복귀 후 첫 국무회의를 주재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의대생 복귀를 언급했습니다.

[한덕수/대통령 권한대행·국무총리 : 이번 주는 학사 복귀와 교육 정상화의 마지막 골든타임입니다. 의대 교육 정상화로 가는 중요한 길목입니다.]

지난주 연세대와 고려대 의대 등록 마감 결과 의대생 절반 정도가 복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복귀율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의대생들 자체 취합 결과에 따르면, 연세대 의대의 경우 휴학이 불가한 25학번 신입생과 군 위탁생을 제외한, 24학번 이상 의대생 등록자는 30%를 조금 넘고, 등록해도 군 입대 예정 등의 이유로 수업을 안 듣겠다는 학생이 150명 정도에 달해, 복귀율은 20% 수준이었습니다.

고려대 의대도 25학번을 제외한 재학생 등록자 수는 90명 정도에 불과해, 24학번 이상 학생들의 복귀율은 15% 안팎으로 파악됐습니다.

연세대 의대의 경우 미등록자 5명 중 1명은 입영 휴학할 계획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사람 가운데 일부는 제적을 면할 길이 있는 겁니다.

[의대 본과 휴학생 : 남학생들은 그냥 군대로 가면 되거든요. 여학생과 군필 남학생들은 제적이 확정된 것이죠, 이제 더는 낼 수 있는 방안이 없으니까요.]

이런 가운데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받은 연세대 의대생 6명은 SBS에 "탄압을 멈추고 대화를 시작해달라"는 호소문을 보내왔습니다.

"정부는 기성 의사단체에 대한 불신을 이유로 의대생들을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하고 있다"면서 "의대생들을 정책의 대상이 아니라 같이 협의할 주체로 존중해달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두원, 영상편집 : 안여진, 디자인 : 박태영·방민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프 깐깐하게 우리동네 비급여 진료비 가장 싼 병원 '비교 검색'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