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상공인 창업부터 재도전까지 맞춤 지원…서울시, 250억 투입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월 26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1월 26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서울시는 소상공인에게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2025년 서울시 소상공인 종합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 소상공인 종합지원은 '창업기-성장기-재도전기' 단계별로 필요한 도움을 주는 사업입니다.

시가 매년 계획을 수립하고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가 실질적인 사업을 수행합니다.

올해는 창업지원, 경영안정화, 위기극복, 재도전 총 4개 분야의 8개 사업에 총 250억 원을 투입합니다.

전체 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5,800명 늘어난 2만 4천여 명입니다.

먼저 탄탄한 기반을 마련해 준비된 창업을 하도록 업종별·유형별 세분된 특화 창업 교육을 1만 명에게 제공합니다.

지난해보다 2천 명 늘어난 규모입니다.

성공한 선배 기업인의 노하우를 현장에서 체험할 수 있는 현장 멘토링도 160명 규모로 진행합니다.

예비 창업자와 창업 3년 이내 소상공인에 대한 업종별 컨설팅은 지난해보다 1천 건 늘린 5천 건 실시해 시장 안착을 돕습니다.

지난해 신설해 좋은 반응을 얻은 '끝장컨설팅' 지원 분야는 20개에서 37개로 늘어납니다.

위기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상품·서비스를 비롯해 마케팅·홍보까지 횟수, 분야 제한 없이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중장년 소상공인의 호응이 높은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은 2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최대 300만 원의 소요 비용을 지원합니다.

'위기 소상공인 조기발굴 및 선제지원' 대상은 지난해 1,300명에서 올해 3천 명으로 늘어납니다.

신용보증재단 보증 이용 고객의 금융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설계한 '경영위기 알람모형'으로 매출액 감소, 대출 급증 등 신호를 포착해 경영 위기에 몰리기 전 구제할 계획입니다.

경영 위기 알람 모형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매출액 감소나 재난 피해 등을 겪은 소상공인은 '공개모집' 방식을 통해 직접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회전문 창업을 막기 위한 '새 길 여는 폐업지원'과 '다시서기 프로젝트'도 중점적으로 추진합니다.

지난해 3,500명에서 올해 4,600명으로 지원 대상을 늘렸습니다.

폐업에 필요한 행정 절차부터 세금 신고 등 사업정리 컨설팅과 함께 임차료·점포 원상 복구비 등 실비, 물품 보관비, 재판매를 위한 수리·세척비 등을 최대 300만 원 지원합니다.

폐업 후 재창업을 준비하는 소상공인에게는 업종 전환을 비롯한 컨설팅과 취업 교육, 직업 훈련, 일자리 매칭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합니다.

다시서기 프로젝트 참여자에게는 일대일 재도전 특화 컨설팅과 함께 임대료 등 사업 초기 자금을 최대 200만 원 실비 지원합니다.

올해 상반기 소상공인 종합지원 사업 참여를 원하는 소상공인은 내일(24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 누리집(www.seoulsbdc.or.kr)에서 모집 분야 확인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만성화된 경기 침체와 정국 불안정 등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 많은 소상공인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서울 경제의 버팀목인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해 활력을 되찾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프 깐깐하게 우리동네 비급여 진료비 가장 싼 병원 '비교 검색'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