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토지거래허가 해제 이후 강남3구 평균 거래가 8% 상승

토지거래허가 해제구역으로 발표된 잠실 아파트 일대 모습.
▲ 토지거래허가 해제구역으로 발표된 잠실 아파트 일대 모습.

23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21일 기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해제된 12일부터 20일까지 강남3구(서초·송파·강남)의 아파트 평균 거래 가격은 24억 5천139만 원으로 해제 전인 1∼11일(22억 6천969만 원)보다 8.0% 올랐습니다.

같은 기간 강남3구를 제외한 나머지 22개 구의 평균 거래 가격은 9억 1천859만 원으로 2.6%(2천462만 원) 하락했습니다.

서울 전체 평균 거래가는 11억 1천828만 원으로 1.6%(1천773만 원) 떨어졌습니다.

이달 1∼20일 기준으로 보면 강남3구 평균 거래 가격(23억 1천119만 원)은 전월 동기(22억 6천472만 원) 대비 2.1%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나머지 22개 자치구의 평균 거래가(9억 3천702만 원)는 6.2%,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거래가(11억 3천161만 원)는 8.2% 각각 내렸습니다.

대출 규제와 정국 불안정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에는 한파가 덮쳤지만 강남3구는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 후 기름을 들이부은 듯 거래가가 오르고 있습니다.

해제 이전에도 상승세를 보이긴 했지만 12일을 기점으로 동반 하락 지역은 물론, 동반 상승하던 지역과도 격차를 벌렸습니다.

강남3구와 나머지 자치구 22개의 가격 차를 보면 이달 1∼11일 평균 13억 2천648만 원이던 격차는 12∼20일 15억 3천280만 원으로 15.6%(2억 632만 원) 확대됐습니다.

이런 현상은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집값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달 셋째 주 기준으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송파(0.22%포인트), 강남(0.19%포인트), 서초(0.07%포인트)로 집계됐습니다.

이들 지역은 동반 상승세를 타던 마포(0.0%포인트), 광진(0.04%포인트) 등과도 상승 폭에서 차이를 벌렸습니다.

반면 동대문(-0.05%), 노원·도봉(각각 -0.04%), 금천·구로(각각 -0.01%) 등은 더 하락했습니다.

실제 거래를 살펴보면 송파구의 경우 1만 세대 안팎이 몰려 있어 대표 단지로 불리는 '엘리트'(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를 중심으로 호가가 치솟고 있습니다.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84㎡ 타입 기준으로 트리지움은 지난 17일 26억 원에 계약이 체결돼 지난 6일(24억 8천만 원)보다 1억 2천만 원 올랐습니다.

리센츠는 8일 27억 원에 계약됐으나 14일에는 5천만 원 오른 27억 5천만 원에 가격을 형성했습니다.

강남구도 지난해 12월 35억 5천만 원에 매매가 성사된 래미안대치팰리스가 이달 13일에 4억 5천만 원 뛴 40억 원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