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12·3 비상계엄 당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체포조 지원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부인하며 약 18분에 걸쳐 반박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13일)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해 첫 증인이었던 조태용 국정원장에 대한 신문이 끝난 직후 의견 진술 기회를 얻어 "대통령인 제가 국정원 1차장인 홍장원에게 전화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전화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며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한 바 있는데, 직접 반박에 나선 겁니다.
오늘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경위를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그는 "원장이 국내에 있느냐, 미국에 출장 중인가에 대한 오해 때문에 (홍 전 차장과) 전화를 부득이하게 돼서 지금 이렇게 시끄러워진 것 같다"며 "그런 점을 대단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국정원장이 해외에 있는 줄 알고 홍 전 차장에게 '원을 잘 챙겨라'고 전화했지만 받지 않고 20여분 있다 (홍 전 차장에게서) 전화가 왔는데 딱 받아보니 저도 반주를 즐기는 편이기 때문에 딱 보니까 술을 마셨더라. 본인도 인정했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원장이 부재중인데 원을 잘 챙겨라', '홍 차장한테 전화할 일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고 끊었다"며 "원래는 답을 '원장님은 서울에 계신다'고 했어야 했는데, 답 없이 '알겠습니다'라고만 하더라"고 덧붙였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후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에 조 원장이 참석한 것을 봤다"면서 "원장님이 부재중인 줄 알았는데 강의구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모시고 오길래 깜짝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홍 전 차장에게 다시 전화한 이유에 대해선 "생각해 보니 해외 순방 때 국정원 해외담당 파트가 경로 정보를 협조하니까 격려 전화를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통화 내용도 자세하게 언급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원장 부재 중이라 잘 챙기라고 했는데, 왜 원장이 계신단 말을 안 했냐가 처음 한 얘기"라며 "방첩사령관과는 육사 선후배니까 방첩사 지원을 잘 해줘라, 대공수사권은 없지만 국가안보조사국을 대신 만들어놨으니 간첩 정보가 있고, 국정원은 특활비나 자금이 많으니까 후배 있는 (방첩사를) 잘 챙기라고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을 해임한 점을 근거로 들면서 "홍장원과 제가 부적절한 뭐가 있었다면 즉시 원장 판단에 따라 조치하라고 못 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몇 가지만 정정하겠다"며 "아까 국정원장이 홍 전 차장에 대한 해임 건의를 저한테 처음 한 게 12월 5일경이라고 말씀했는데 저는 12월 4일 밤이라 분명히 기억한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조 원장이 전화 통화로 홍 전 차장 해임을 건의했다"면서 "분명한 건 몇 달 전부터 정치적 중립 문제와 관련해 원장의 신임을 많이 잃은 상태였단 것을 알 수 있었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그래서 원장한테 한 소리했다. '아니, 주례보고를 하는데 국정원 1차장이 원장 신뢰를 잃은 상황이면 이만큼 중요한 정보가 어딨느냐. 왜 나한테 이걸 미리 보고 안 했냐'고 했더니 '관찰 좀 하다 보니 늦었다'더라"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즉시 '원장님이 쓰는 사람인데, 그렇게 신뢰를 못 하겠다면 인사 조치 하십시오. 후임자가 누가 좋은지 생각해서 알려주십시오(라고 했다)'"라고 말했다고도 했습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보는 앞에서 홍 전 차장 해임안을 재가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6일에 해임안건 재가건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올라왔다"며 "그날 제가 여당 의원들이 국회에서 '의원 총회를 하는데 대통령께서 오셔서 비상계엄 경위와 과정에 대해 한 말씀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해서 고민하다가 가기로 했는데, 한동훈 대표가 '오실 필요 없고 자기가 관저로 오겠다'고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동훈 당시 대표가 보는 앞에서 홍장원에 대한 해임 재가를 결재하는 것을 보여주려고 기다렸다"며 "12월 6일 아침에 제가 홍장원에게 (체포조 지원을) 지시했다는 기사가 나서 오해가 생기니까 한동훈 대표한테 '이거 봐라, 내가 홍장원한테 약점 잡힐 일이 있으면 재가하겠나' 하면서 들어와서 이야기를 좀 나누다가 가기 전에 재가하는 걸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여러 가지 일들을 조합해서 의혹을 제기하면서, 뒷다리 잡는 이야기를 소추인단 측에서 많이 하는데 상황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홍 전 차장이 저와 여러 차례 술을 먹었다는 데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반박했습니다.
이어 "저녁하면서 반주를 딱 한 번 했다"며 "국정원 보고가 제일 뒷 순서로 가면서 저녁 타임을 놓치게 돼 같이 저녁을 했다. 저는 기억력이 아주 정확한 사람이다. 딱 한 번 식사한 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밖에서 홍 전 차장이 대통령과 술도 먹고 가깝다, 대통령 부인하고 가깝다고 말하고 다녔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공직 위계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했습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