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각국 '딥시크 차단' 움직임…중국 "위법한 데이터수집 요구한 적 없어"

각국 '딥시크 차단' 움직임…중국 "위법한 데이터수집 요구한 적 없어"
▲ 딥시크 앱 서비스 화면

한국·호주·일본·이탈리아 등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보안 우려 속에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 사용을 잇따라 금지·제한하는 가운데,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을 요구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각국의 딥시크 제한 움직임에 관한 언론 질의에 "우리는 관련 상황에 주목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궈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하고 법에 따라 보호하고 있으며, 지금껏 기업 혹은 개인에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저장하라고 요구한 적도 없고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는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하고 경제·무역 문제를 정치화하는 방식에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면서 "동시에 중국은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은 자국 정부·기업이 해외 각국의 제재·통제 조치에 직면할 때 '합법적 권익 수호'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자주 밝혀왔습니다.

이는 경우에 따라 보복 등 대응 조치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되기도 합니다.

한국 국방부·외교부·통일부·산업통상자원부·한국수력원자력 등 기관들도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상태입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정부 부처들의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는 범정부 차원에서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이뤄졌습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일본·타이완·미국 텍사스주 등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는 아예 앱 마켓에서 전면 차단했습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각국 기업과 금융기관들도 속속 딥시크 차단에 나서는 형국입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