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기업 R&D 미중 쏠림 심화…중국 10년간 투자액 11.5배 늘려

기업 R&D 미중 쏠림 심화…중국 10년간 투자액 11.5배 늘려
▲ BYD 전기차 국내 공식 출시

지난 10년간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세계 R&D 투자의 축이 미국과 중국으로 쏠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유럽연합(EU) 공동연구센터가 지난 12월 발표한 '2024년 R&D 투자 스코어보드'의 2천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지난 10년간 R&D 투자 상위 2천대 기업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 기준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기업 수와 투자액을 확보했습니다.

2천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 기업 수는 2013년 119개에서 2023년 524개로 10년간 405개 늘었고, 투자액은 118억 유로에서 2천158억 유로로 11.5배 증가했습니다.

특히 상위 10개국 중 10년간 기업 수와 투자액이 계속 증가한 국가는 중국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의 1위인 미국의 경우 기업 수는 668개에서 681개로 10년간 13개 늘었습니다.

투자액 기준으로는 2013년 1천910억 유로로 전체의 36.1%였으나, 2023년에는 5천319억 유로로 2.8배 증가하며 전체의 42.3%를 차지했습니다.

2023년 기준 상위 2천대 기업에 포함된 미국과 중국의 기업 수는 전체의 60.3%를 차지했고, R&D 투자액의 합도 전체의 59.5%에 달했습니다.

2013년 중국에 앞섰던 일본, 독일, 영국 등은 중국의 급성장에 따라 순위가 밀려났습니다.

한국의 경우 기업 수는 54개에서 40개로 줄었지만, 투자액은 2.2배 증가했습니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을 나타내는 R&D 집중도도 미국과 중국의 증가세가 컸습니다.

미국은 2013년 5.1%에서 2023년 8.5%로 3.4%포인트 늘었으며, 중국도 1.4%에서 3.9%로 2.5%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한국의 R&D 집중도는 2.4%에서 4.0%로 1.6%포인트 늘었습니다.

세계 R&D투자 2천대 기업 10위권 국가 현황

박기순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중국은 미중간 기술 패권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기초기술 R&D 강화와 대규모 투자 자금 및 R&D 지원, 세제 지원, 인공지능(AI) 육성을 위한 규제 완화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첨단산업 분야별로 R&D 투자를 분석한 결과, 반도체 산업에서는 엔비디아가 2013년 9.6억 유로에서 2023년 79억 유로로 8.2배 늘어 가장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한국의 SK하이닉스가 6.7배, 미국의 AMD가 6.1배, 대만의 미디어텍이 5.1배 늘어나며 뒤를 이었습니다.

삼성전자의 R&D 투자액은 199억 유로로 반도체 기업 중 1위였으며, R&D 투자액은 10년간 약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T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산업에서는 미국의 메타가 10년 전 대비 32.4배 증가한 332억 유로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중국 텐센트가 15배, 미국 세일즈포스가 10.1배 증가해 뒤를 이었습니다.

네이버는 10년 전에 비해 R&D 투자액이 약 2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전기차 선두 주자인 미국 테슬라의 R&D 투자가 10년 전에 비해 21.5배 증가했고, 이어 중국 비야디(BYD)가 15.8배 증가, 인도 타타자동차가 2.9배 늘어났습니다.

투자액 기준으로는 폭스바겐, 벤츠, 제너럴모터스(GM) 등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현대차는 10년간 2.7배 늘어났습니다.

제약 산업에서는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3.4배), 애브비(3.1배), 브리스톨 마이어스(3.1배), 아스트라제네카(3배)의 투자액 증가 속도가 높았습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한미약품의 R&D 투자액이 10년간 2배 늘어나 가장 많았습니다.

김현수 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중국 딥시크(DeepSeek)의 등장에서 보듯이 산업별 선도 기술을 둘러싼 기업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이라며 "세제 지원을 통해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반도체특별법 같은 지원을 통해 제도적인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