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2심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2심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월 23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첫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자신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2심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습니다.

이 대표 측은 오늘(4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심리하는 서울고법 형사 6-2부(최은정 이예슬 정재오 부장판사)에 당선 목적의 허위사실 공표죄 처벌을 규정한 공직선거법 250조 1항과 관련해 위헌을 주장하며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서를 냈습니다.

공직선거법 250조 1항은 '당선될 목적으로 연설·방송· 신문 등 방법으로 출생지·가족관계· 직업·경력 등에 관해 허위의 사실을 공표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지난달 23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에 대한 질문에 "후보자의 행위에 대해서 허위 사실을 공표하면 처벌한다는 조항이 전 세계에 대한민국이 유일하다고 알려져 있다"며 "신청 여부는 변호인들이 판단하게 될 것이고, 저로서는 그 결과를 존중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 대표의 변호인도 같은 날 항소심 첫 공판기일에서 "시대가 많이 바뀌어 처음에는 합헌이다가 위헌인 사례를 종종 찾을 수 있다"며 "허위사실 공표죄를 그대로 두는 게 우리 선거 문화와 질서에 맞는지, 타당한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위헌법률심판 제청이란 법률의 위헌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되는 경우 법원이 직권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헌법재판소에 위헌심판을 제청하는 제도입니다.

법원이 만약 위헌심판 제청을 결정한다면, 헌재에 결정서를 보내고 헌재는 이를 접수해 심판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헌재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해당 재판은 중지됩니다.

재판부가 지난 공판기일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2월 26일에 결심공판을 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 대표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재판 진행과 선고가 미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법원이 신청을 기각하면 이 대표 측이 곧바로 헌재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헌법소원 심판은 재판 중단 효과는 없습니다.

앞서 이 대표 측은 지난달 17일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에 관한 의견서를 낸 바 있습니다.

이는 재판부에 신청 의사를 밝혀 심판제청을 촉구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이를 두고 여권 일각에선 이 대표가 '재판 지연 전략'을 펴고 있다고 비판도 나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폴리스코어 시즌 2 - LLM과 빅데이터로 분석한 정치인 주간 랭킹 & 이슈 FAQ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