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또 뒤통수 친 일본…"약속했는데" 군함도 강제성 숨겼다

<앵커>

일본이 이른바 군함도 탄광 등에서 '한국인 강제노역'이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또 외면했습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면서 일본이 했던 약속들이 있는데, 이것을 계속 지키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김수영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유네스코는 어제(31일), 일본 정부가 지난달 제출한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일명 '군함도' 탄광 등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 지난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어떤 후속 조치를 했는지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군함도 탄광 등에서 일한 노동자의 월급 비교분석 등 연구를 지원했고, '산업유산정보센터'에서 유산의 가치를 설명해 왔으며, 정보센터 문 여는 날을 늘렸다는 내용 등이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인 강제노역의 역사를 어떻게 알렸는지에 대한 내용은 사실상 없습니다.

한일 합의에 따라 우리 측이 요구했던 강제노역 피해자들의 증언 전시는 증언 자료집을 서가에 비치하는 것으로, 강제노역의 전체 역사 설명은 해설사 역량 강화 조치 등으로 대체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유네스코는 한국 등 관련국과 협의하고 합의해 후속 조치를 하라고 권고했지만, 일본 정부는 끝내 외면한 것입니다.

지난 2015년, 군함도 등 근대산업시설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만 해도 일본은 강제노역을 인정했습니다.

[사토 구니/당시 일본 유네스코 대사 (2015년 7월) : 1940년대에는, 조선인을 비롯한 수많은 사람이 자신의 의지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했습니다.]

하지만, 등재에 성공한 뒤에는, 일본 정부는 표변했습니다.

[기시다/당시 일본 외무장관 (2015년 7월) : 'Forced to Work(일을 강요당했다)'라는 표현은 강제 노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산업유산정보센터'는 5년이나 설립을 지체하다가 유산이 있는 곳도 아닌, 도쿄에 설치하고 말았고, 한국인 인권침해가 없었다거나 한일 강제합병이 정당했다는 역사 왜곡 자료들을 내걸었습니다.

외교부는 일본이 약속했던 후속조치를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해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추모 없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이어, 강제노역 역사 없는 군함도 후속조치로 또 뒤통수를 맞은 것인데, 우리 정부는 유네스코 항의, 등재 취소 제안 같은 무기력한 대책만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양현철, 영상편집 : 정성훈, 디자인 : 임찬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폴리스코어 시즌 2 - LLM과 빅데이터로 분석한 정치인 주간 랭킹 & 이슈 FAQ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배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