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전문가들이 평가한 2월 제조업 업황 전망이 전월 대비 비교했을 때 8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2월 제조업과 내수 전망은 여전히 3개월 연속 기준치(100)를 하회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주요 업종별 전문가 120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2월 제조업 업황 전망이 97로 집계돼 전월(75)보다 22포인트(p)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 대비 증가(개선) 의견이,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월 제조업 업황(97) 전망은 3개월 연속 기준치를 하회했지만 전월보다 22포인트 올라 8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제조업 업황 전망의 반등 근거와 관련해 "ICT 부문 반도체 업종에서 올해 본격적인 투자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메모리 업황도 일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휴대폰 업종의 경우 1월 'CES 2025' 효과 및 삼성전자 신제품 출시로 출하량 증가가 전망되며, 조선업에서도 수주량 및 건조량이 동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내수(99)는 3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반면, 수출(105)은 3개월 만에 기준치를 웃돌았고, 생산(98)도 9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국내 제조업의 주요 유형별 업황 전망은 정보통신기술(ICT·96)·기계(96)·소재(97) 등 모든 부문에서 전월에 이어 기준치를 하회하는 추세가 이어졌습니다.
다만 세부 업종별 업황 전망에서는 디스플레이와 조선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이 반등했습니다.
휴대폰은 전월보다 46포인트 상승한 125로 집계돼 기준치를 큰 폭으로 상회했습니다.
자동차(100), 조선(100), 화학(100), 철강(100), 바이오·헬스(100) 등도 기준치를 회복했습니다.
휴대폰, 바이오·헬스, 철강, 기계, 자동차 등 대부분 업종에서 전월 대비 두 자릿수 반등이 전망됐습니다.
올해 1월 제조업 현황은 88로 기준치를 밑돌았지만, 전월 대비로는 7포인트 상승해 3개월 만에 상승했습니다.
내수(87)와 수출(97)은 기준치를 여전히 하회했지만 수출이 8개월 만에 10포인트 상승했고, 생산(96)은 3개월 만에 11포인트 올랐습니다.
세부 업종별로는 휴대폰(100), 가전(110)을 제외한 전 업종이 기준치를 하회한 가운데 반도체(56) 업황이 가장 나빴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