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상 덮친 참사 트라우마…슬픔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법 [스프]

[뉴스페퍼민트] (글: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0103 뉴욕타임스 해설 썸네일
국가애도기간입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탑승객 대부분인 179명이 목숨을 잃으면서 한국 사회는 참담하고 슬픈 연말연시를 보내고 있습니다.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는 말이 있지만, 나누고 위로받고 덜어내기가 말처럼 쉽지 않은 종류의 슬픔이 있습니다. 슬픔의 원천에 대한 사회적인 관념이나 편견 때문에 그렇기도 하고, 그런 사회적인 편견이 개인에게 체화돼 사람들이 슬픔을 드러내기보다는 쉬쉬하고 속으로 삭히다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또는 슬픔의 양을 재는 게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너무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난 탓에 슬픔의 절대적인 양과 크기가 감당하기 어려운 때도 있습니다.

애도(哀悼). 국어사전에는 그 뜻이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이라고 풀이돼 있습니다. 영어로 슬픈 이를 위로하는 데 초점을 맞춘 단어는 "condolences"가 있고, 깊은 슬픔을 나타내는 단어로 "mourning", "grief" 등이 있습니다. 사람이 죽으면 슬퍼하는 게 당연하고, 특히 가까운 사람, 소중한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추스르기 어려울 만큼 큰 슬픔에 빠지는 것도 자명한 이치 같은데, 막상 애도를 어떻게 해야 잘하는 건지 물으면, 우리는 쉽게 답하지 못합니다. 어쩌면 이 또한, 슬픔을 솔직히 드러내지 못하는 문화 탓일 수도 있습니다. 슬픔을 꺼내는 것조차 금기가 되다 보니, 슬픔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법을 익히지 못한 셈이죠.

오늘은 자살로 떠난 친구를 애도하는 방법에 관해 작가 슬론 크로슬리가 쓴 칼럼을 통해 올바른 애도, 슬픔을 잘 받아들이는 법에 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개인의 죽음을 계기로 쓴 글이지만, 집단 참사를 겪은 사회가 이를 받아들이고 이겨내는 과정에서 거쳐야 하는 사회적인 애도와 비교해도 애도를 더 잘하기 위해 우리가 갖추고 지켜야 할 원칙이 무엇일지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도 글을 쓰는  나종호 교수의 저서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에는 애도의 단계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본인의 경험을 사례로 들며 애도에 연구자인  데이비드 케슬러 박사를 인용해 "부정 - 분노 - 협상 - 우울 - 수용"으로 이어지는 애도의 선형적인 과정을 소개하고, "의미 찾기"라는 마지막 단계를 추가해 소개합니다.

의미를 찾는 단계에 관해 조금만 더 생각해 보겠습니다. 많은 사람이 흔히 애도를 여행(journey)에 비유합니다. 보통 여행은 시작한 곳으로 돌아올 때 끝이 나죠. 일상에 잠시 쉼표를 찍고 다녀오는 여행을 생각해 보면 당연합니다. 그래야 여행을 마치고 나서 순조롭게 일상을 재개할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런데 사실 애도의 과정을 여행에 비유하는 건 문제가 있습니다. 소중한 사람을 잃고 한참 슬퍼한 뒤의 나는 그 사람을 잃기 전의 나와 같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단지 떠나간 사람의 빈자리를 슬퍼하고 아쉬워하는 것뿐 아니라, 그 사람 없이 사는 삶은 크든 작든 같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종호 교수는 애도를 '귀환 없는 여정'이라고 칭했습니다. 원래 자리로 돌아오면 끝나는 게 아니라, 새로운 나를 받아들이고 다시 그런 나로 잘 살아가는 과정까지 애도에 포함하는 겁니다.

의미를 잘 찾고 새로운 나를 마주하려면 애도의 앞 단계들을 잘 거쳐야 합니다. 특히 고통스럽고 슬픈 상황을 받아들이는 단계를 거치지 못하면 의미를 찾는 건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은 또 사람마다 다릅니다. 누군가의 죽음을 개인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정답과 오답이 없는 과정이란 뜻입니다. 의미를 찾는 과정도 마찬가지입니다.

뉴욕타임스에 칼럼을 쓴 크로슬리는 (나종호 교수와는) 조금 다른 맥락에서 여정(journey)이란 단어를 비틀어 이해합니다. 원래 자기 성격이 진지한 걸 잘 견디지 못하고, 그래서 애도를 엄숙한 여정으로 풀지 않고, 자기 방식대로 웃음을 가미합니다. 저도 책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책을 낸 뒤 한  인터뷰를 보면 재밌는 장면, 에피소드들이 꽤 많이 소개된 것 같습니다. 이걸 두고 누군가의 죽음을 웃음의 소재로 삼았다고 비판할 수는 없을 겁니다. 개인이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는 과정에서 그 사람의 삶을, 그 안에 자신과 얽힌 추억을 돌아보고 기리는 일은 떠난 자리를 더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한 과정일 테니까요.

크로슬리는 귀금속을 한꺼번에 도난당한 지 얼마 후에 직장 상사이자, 좋은 친구를 자살로 떠나보낸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상실을 이야기합니다. 처음에는 잃어버린 물건의 작지 않은 금전적 액수에 속이 쓰렸지만, 소중한 사람이 갑자기 사라지고 난 뒤의 아픔과 충격은 비할 수 없을 만큼 깊고 오래 갔습니다. 이 죽음을 받아들이고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크로슬리는 떠난 친구와의 추억을 곱씹고, 친구 없는 자신의 삶을 조망합니다.
 

집단 참사 이후 사회적 애도에 추가돼야 하는 요소: 공감

사회를 비롯한 공동체를 이루는 구성원이 함께 겪는 집단 참사의 경우도 애도의 과정을 보면, 뼈대는 비슷합니다. 다만 개인의 애도 과정에선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들이 등장하는데, 바로 참사의 희생자와 직접 관련은 없지만 그저 소식을 듣고 함께 가슴 아파하는 대다수 사회의 구성원입니다. 저를 포함해 이 글을 읽는 분 대부분이죠. 그런 우리가 유가족의 아픔에 공감하지 못할 때 혹은 그 공감의 정도가 크게 어긋날 때 애도의 과정은 전반적으로 어그러져 버릴 수도 있습니다.

봉준호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가장 한국적인 장면으로 합동분향소의 모습을 꼽은 적이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현대사는 여러 사람의 목숨이 허망하게 스러진 일들로 점철돼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봉준호 감독의 영화 속 합동분향소 장면을 보면 봉 감독 특유의 풍자가 담겨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영화 "괴물" 속 합동분향소에서 유족들은 오열하는데 기자들은 여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그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자 플래시를 터뜨려가며 사진을 찍고, 주차 관리인은 울부짖는 유족들보다 더 큰 목소리로 길을 막고 주차해 놓은 차주를 찾으려고 악을 씁니다. 가누기 어려운 슬픔으로 고통받는 이들이 눈앞에 있는데 이를 아무렇지 않게 대하는 모습은 헛웃음을 자아내는 동시에 공감하지 못하는 사회를 날카롭게 빗댄 장면이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

      연합뉴스 배너
      >